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K패스 이용자가 출시된 지 3개월 만에 이용자 2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K패스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이용 횟수는 월평균 8회 정도 늘어 았으며 3개월간 약 2만 712톤의 탄소가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K패스 이용자 200만명 돌파

국토교통부는 5월부터 시행된 K패스의 이용자가 8월 2일 기준으로 2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중에 청년층이 111만 4000명(55.7%)으로 가장 많이 이용했으며,일반층은 80만 2000명(40.1%), 저소득층이 8만 4000명(4.2%)이었다고 밝혔습니다.

 

K-패스란

K패스는 월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등)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 비율(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를 의미합니다.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격차 해소를 주제로 교통분야 3대 혁신 전략의 일환으로 5월 1일부터 시행 중이며 189개 시군구에서 참여 중입니다.

 

K-패스는 사업 시행 직후부터 국민들의 관심과 함께 빠른 속도로 이용자가 증가하였으며 5월 말 150만 명, 6월 말 178만 명에 이어 사업 시행 3개월 만에 이용자가 200만 명을 달성하였습니다.

 

K-패스의 효과

K패스 사업 시행 이후 2개월(5월, 6월) 동안 이용자들은 대중교통으로 월평균 5만 6005원을 이용하여 월 평균 1만 5060원(1년 기준 18만 720원)을 환급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정년층과 저소득층의 대중교통비 부담 완화에 매우 효과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K패스는 교통비 절감효과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활성화를 통해 탄소저감 등 친환경 효과도 큰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K패스 사업 시행 이후 3달 동안 약 2만 712톤의 탄소가 감축된 것으로 추정하며 수령 30년 산 소나무 228만 그루를 심은 것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합니다.

 

K패스 이용자 중 자가용을 직접 운전해서 다니는 이용자(응답자의 약 25%)는 K패스 사용 전후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일수가 1주일에 약 1.66일 증가하여 전체 자가용 이용자 기준으로 약 2만 712톤(3달 기준)의 탄소가 감축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습니다.

 

K패스의 호응도

K패스의 이용자의 약 96%가 K패스 사업에 만족한다고 답변하는 등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K패스 이용 전후 대중교통 이용 횟수는 1주일 기준으로 2회(평균 6회에서 8회로 늘어) 월평균 8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약 96%가 K 패스가 대중교통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K패스의 교통비 절감 혜택, 편리한 사용성 등에 만족했다고 조사되었으며 일부 이용자들은 전국에서 사용 가능하다는 점, 여러 카드사의 상품이 있어서 이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 등을 장점으로 꼽았다고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글을 마치며

지금까지 K패스이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탄소저감에 대한 친환경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소비자들은 대중교통비 지출이 대략 월 20만 원 이상으로 기름값과 비슷해서 자차를 주로 이용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K패스로 대중교통비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자차 대신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는 후기를 남기기도 했으며, K패스 어플을 통해서 적립내역을 보니 더욱 편리하고 평소 교통비보다 30% 절감이 가능해서 부담스러웠던 교통비가 해소되었다는 후기도 남겼습니다.

K패스 사업시행 3개월 만에 이용자 200만 명을 돌파하여 명실상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대중교통 활성화 지원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으며 국민들이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이용자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을 발전시켜 나아가길 희망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