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2025년 7월부터 인상되는 프리랜서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방법(+저소득 프리랜서 국민연금지원제도)

by 해방지니 2025. 6. 29.
728x90
반응형

2025년 7월부터 프리랜서(지역가입자)의 국민연금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기준소득월액 상·하한이 조정되며, 이에 따라 실제 납부 금액도 달라집니다.


보험료 산정 기준

프리랜서는 국민연금 ‘지역가입자’로 분류됩니다.

 

보험료는 본인의 월평균 소득(기준소득월액)에 9%를 곱해 산정합니다.

 

기준소득월액은 전년도 종합소득세 신고 소득뿐 아니라, 재산·자동차 등 생활 수준 자료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국민연금공단이 결정합니다.


2025년 7월부터 적용되는 상·하한액 및 계산식

 



기준소득월액 하한액: 40만 원

기준소득월액 상한액: 637만 원

보험료율: 9% (전액 본인 부담)

💰 보험료 계산식

월 보험료 = 기준소득월액 × 9%

최소 보험료: 40만 원 × 9% = 36,000원

최대 보험료: 637만 원 × 9% = 573,300원

💰 예시

월 소득 200만 원 → 200만 원 × 9% = 180,000원

월 소득 700만 원 → 상한 적용 → 637만 원 × 9% = 573,300원


국민연금 보험료를 낮출 수 있는 방법

기준소득월액 조정 신청

📌 소득이 줄었다면, 국민연금공단에 ‘기준소득월액 변경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 등 증빙자료 제출로 실제 소득에 맞게 보험료를 낮출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공단(1355) 전화 또는 정부24에서 증명서 발급 후 팩스·우편 제출 가능

납부예외 신청

📌 실직, 폐업 등 소득이 없는 경우 ‘납부예외 신청’ 가능

 

📌 승인되면 보험료 납부가 면제되며, 이 기간은 가입기간에 포함되지 않음

 

📌 단, 향후 연금 수령에 포함하려면 추후납부 필요


보험료 지원제도 활용

 

 

저소득 프리랜서는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제도’로 월 최대 46,350원, 최대 1년간 50% 지원 가능

지원 대상 요건

📌 재산세 과세표준 6억 원 미만

📌 종합소득 1,680만 원 미만(근로·사업 제외)

 

납부예외에서 재가입하는 경우도 지원 대상 포함될 수 있습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요약

2025년 7월부터 프리랜서 국민연금 보험료는 월 소득에 9% 적용, 최소 36,000원, 최대 573,300원 납부합니다.

 

소득 감소 시 보험료 조정 신청, 납부예외 및 보험료 지원제도 적극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